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민주화 ISSUE

  • 계엄
    계엄은 전시·사변, 국가비상사태 시 군사력을 이용해 행정, 사법권을 유지하는 대통령 비상통치권에 해당한다. '5.16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은 1964년 '6.3시위'에 계엄령으로 진압했고, 1971년 12월 6일 국가비상사태 선언에 이어 1972년 10월 17일 비상계엄령을 선포해 1인 장기집권체제인 유신체제를 수립했다.
  • 긴급조치
긴급조치 1­-4호기 민주화운동

박정희 대통령은 1974년 1월 8일 개헌청원백만인서명운동을 빌미로 개헌 논의 금지 및 비상군법회의 설치를 내용으로 하는 대통령 긴급조치 1·2호를 선포했고, 4월 3일에는 ...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긴급조치1호반대투쟁

긴급조치 1호에 대한 첫 번째 투쟁사례이다. 긴급조치 1호가 발표된 바로 다음 날 즉각적인 행동이 필요하다고 느낀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 실무자의 주도로 총 3단계의 투쟁으로...

긴급조치 1·2호 선포

유신헌법에 대한 개헌청원백만인서명운동(1973년 12월 본격화)이 국민들의 지지 속에 확산되자 1974년 1월 8일 박정희정권은 개헌 논의 전면 금지 및 비상군법회의 설치를 ...

긴급조치 4호 선포

1974년 4월 3일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은 오후 10시를 기해 학원사태와 관련해 대통령긴급조치 4호를 선포,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과 이에 관련되는 단체를 조...

긴급조치 이전 반유신운동

1972년 10월 유신체제의 수립 직후 삼엄한 분위기 속에서도 저항은 사라지지 않았다. 1973년 봄 전남대, 고려대 대학생들이 학생운동 조직을 복원하려고 노력하면서 지하 유...

유신체제의 성립

박정희(朴正熙) 정권은 1960년대 말 한반도에 조성된 군사적 위기 국면을 활용하여 시민사회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고, 1969년 삼선개헌으로 장기집권을 모색했다. 1970년...

국가비상사태 선언 및 국가보위법 제정

박정희(朴正熙) 정권은 10.15위수령 이후 위기감을 증폭시키고 장기 집권을 위한 권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12월 6일 박정희 대통령은 현재 대한민국의 안보가 중대...

6.3시위

1964년 6월 3일 박정희(朴正熙) 정권의 굴욕적인 한일회담에 대해 대학생들을 주축으로 시민들이 반대하며 벌인 대규모 시위를 말한다. 1964년 3.24시위를 시작으로 전개...

민주화운동사전

민주화운동사전은 한국민주화운동 역사의 체계적·통합적 구축과 관리, 다양한 미디어/교육 콘텐츠를 개발 제공함으로써 미래세대를 위한 소통과 참여의 장이 될 것입니다.

사이트 소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