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4.27대선부정규탄운동

박정희정권기 > 제3공화국기 민주화운동 > 1971년 선거투쟁
제7대 대통령선거 개표 현장
유형
사건
분류
사회운동
영어표기
The Protests against the April 27 presidential election fraud
한자표기
四二七大選不正糾彈運動
발생일
1971년 5월 1일
종료일
1971년 5월 1일
시대
박정희정권기 ‣ 제3공화국기 민주화운동 ‣ 1971년 선거투쟁
지역
전국

개요

1971년 4.27대선이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와 정부 및 여당의 금권과 관권을 동원한 불법 선거운동과 함께 투개표 부정행위로 치러졌다는 것이 신민당 및 참관인단의 선거참관 보고평가회 등을 통해 밝혀지자, 대선 직후부터 재야와 청년과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규탄운동이 전개됐다.

배경

4.27대선이 끝난 직후부터 선거를 둘러싸고 정부와 여당의 부정행위에 대한 의혹과 비판, 선거 결과에 대한 불복과 재선거 실시 요구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김대중 신민당 대선후보는 4.27대선을 “국민의 평화적 정권교체 열망을 짓밟은 부정선거”로 규정했다.(경향신문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대선 다음 날인 4월 28일 신민당은 4.27대선을 ‘선거라는 이름을 빌린 민주헌정에 대한 쿠데타이자 지능화된 원천적 부정과 대규모의 조작투표’로 규정하고 정치적, 법적 투쟁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결의했다. 4월 29일 신민당 대선후보였던 김대중(金大中)은 4.27대선이 선거사상 유례없던 부정 불법선거였다면서 대선 결과에 승복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4.27대선 공명선거 운동을 주도했던 ‘민주수호국민협의회’(약칭 민수협),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약칭 민주수호전학련), ‘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약칭 민수기독청), ‘민주수호청년협의회’(약칭 민수청) 그리고 각 대학별 학생운동세력들도 대선 참관에 대한 평가를 거친 뒤 선거 결과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밝혔다. 정부와 여당의 선거참관운동 방해와 각 지역에서 올라온 부정선거에 대한 평가보고회는 자연스럽게 부정선거 규탄운동으로 전화하는 계기가 됐다. 신민당의 투쟁 결의와 함께, 참관인단의 투개표 참관 보고를 계기로 부정선거 규탄과 대선 재선거 실시, 5.25총선 거부 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원인

군에서는 각 중대별로 시간제로 투표를 한 사례가 적발됐다.(경향신문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박정희(朴正熙) 후보와 정당과 정부는 4.27대선 승리를 위해 금권과 관권 동원의 타락선거 외에도 투개표 부정행위를 저질렀다. 그것은 ① 선거운동 과정에서 공화당이 전국적인 표의 매수행위를 자행하고 관권이 총동원돼 선거운동에 불법 투입됐다는 것, 국가예산이 박정희 후보 선거운동을 위해 사용되고 지방 사업에 득표용으로 악용되었다는 것과 함께, ② 투개표 과정에서는 야당계 유권자를 대량 누락시킨 반면 친여당 유권자가 이중 삼중으로 중복등재 조작되었다는 것, 투표 당일 릴레이, 대리투표와 ‘다리미표’ 등 무더기 표 투입, 공개투표, 참관인 축출 등 투표 부정행위가 전국적으로 행해졌다는 것 등이었다. 또한 ➂ 군에서는 각 중대별로 시간제로 투표를 하니 어느 중대에서 김대중 표가 많이 나왔는지 알 수 있다고 위협을 했고, 국방부는 전 군에 특별경계령을 내리고 투표 날에는 각급 부대가 시차별로 투표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전개

4월 30일 민수협는 대선에 결과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 “4.27대선이 평온을 유지한 것은 단지 행정력에 의한 치밀한 부정계획의 결과였을 뿐”이라면서, “유례가 드물 만큼 행정조직과 금력에 의해 지능적으로 치밀하게 계획된, 원천적 부정의 토대 위에서 실시된 선거”라고 평가했다.주)001

각 대학 학생들은 4.27대선 참관보고 및 평가회를 개최했다. 4월 29일 한국외대생 200여 명에 이어, 4월 30일 서울대, 고려대와 서강대 등 5개대생 360여 명의 4.27선거 참관학생들은 대학별로 평가보고대회를 갖고 “이번 선거는 겉으로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같이 평온한 공명선거인 듯했으나 내면적으로는 행정력이 총동원된 고차원적이고 원천적인 부정선거”라고 주장하고 그 이유로 유권자들의 투표권이 대량으로 누락된 제한선거, 무더기표 투입, 릴레이 투표 등을 들었다.

5월 1일 민주수호전학련은 전국 각지에서 참관을 통해 선거 과정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 “4.27대선은 전면적 부정선거이며, 그 결과는 무효”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우리는 국민의 이름으로 오늘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하는 박정희 씨의 제7대 대통령 당선 공고를 인정할 수 없다”고 선언하고, “신민당을 비롯한 모든 재야 정당은 4.27선거의 전면 무효화가 관철되지 않는 한 국회의원 선거를 전면적으로 거부할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서울대생들의 4.27대선부정 규탄시위 보도(경향신문 1971.5.4.)

5월 3일 서울대 상대생 150여 명은 ‘원천적 부정선거 화형식’을 연 뒤 고려대 앞까지 침묵시위를 벌였는데, 이 과정에서 6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서울대 법대생 100여 명도 성토대회를 통해 ‘4.27선거 무효선언’과 함께 “권력에 아부하고 공갈협박에 짓눌려 불법부정을 덮어두고 표면적 평온을 가장하는 데 협력한 사이비 언론도 규탄한다”고 밝혔다. 고려대 총학생회와 민주수호투쟁위원회도 “이번 선거는 학원과 언론을 봉쇄한 가운데 관권과 금력을 동원시킨 고도화된 부정선거”라고 주장하고 “6천 고려대인은 선거의 전면무효를 위해 각계각층과 손을 잡고 민주수호대행진 등 과감한 투쟁을 벌일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연세대에서는 경희대, 국민대, 동국대, 명지대, 성균관대, 연세대 등 6개 대학 총학생회장들이 모여 4.27대선과 5.25총선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같은 날 민수기독청 학생회원 100여 명은 4.27대선 평가회를 가진 뒤 “너무도 다차원적인 전 행정력을 동원한 부정선거로 무참히 민권이 유린당하고 민주 터전이 붕괴되는 천인공노할 불의를 국민의 이름으로 목놓아 규탄한다”며, “정보, 사찰, 피해과대망상증에 걸리게 하는 공포 분위기 조성, 국민의 피로 점철된 세금이 신성한 국민의 주권을 매수하는 데 남용되었던 이번 선거는 유례없는 입체적 부정선거였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문인 선거참관인단도 4.27대선을 “조용한 쿠데타”로 규정한 뒤 지방색 충동에 대한 사죄 등 5가지 시정 요구를 했다.

5월 4일 서울대 법대생 30여 명은 부정선거를 규탄하고 재선거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했다. 5월 5일 감리교신학대생 100여 명은 4.27대선을 부정선거로 규정하고 “국민과 온 교회의 이름으로 전면 무효를 선언한다”고 말했다.

5월 6일 서울대 문리대생 100여 명은 교내 4.19기념탑 앞에 모여 비상학생총회를 열고 4.27대선을 규탄하는 성토대회를 벌였다. 성토대회를 마친 뒤 교문을 나와 데모를 벌이다가 경찰에 의해 다시 교내로 밀려들어갔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우리는 학생 참관인 보고대회의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4.27대통령선거가 사전에 치밀하게 조작된 원천적이며 전면적인 부정불법선거임을 규정한다”면서, “① 4.27선거는 원천적이며 전면적인 조작, 부정선거이므로 이를 무효화한다, ② 정부와 여당은 부정선거의 모체인 중앙정보부를 해체함과 동시에 떳떳한 자세로 대통령 선거의 재선거에 임하라, ③ 이 같은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때 국회의원 선거는 무의미한 것이므로 모든 재야, 정당은 5.25선거를 전면적으로 거부하라”고 촉구했다.

5월 7일 서울대 총학생회 주최로 문리대, 법대, 상대, 음대, 교양과정부 학생 400여 명은 4.19기념탑 앞에서 4.27선거 규탄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사이비 민주주의 화형식’을 가진 뒤 ‘야당은 5.25총선거를 전면 거부하라’는 피켓을 들고 교문 밖으로 나가 대학로를 차단, 연좌데모를 벌이며 경찰과 대치했다. 경찰은 학생들이 교내로 들어간 뒤에도 약 2시간 동안 최루가스와 최루탄을 교정에 쏘아댔다.

5월 10일 이화여대 4.27선거 참관학생들은 공개보고 좌담회를 갖고 ‘이번 선거는 부정선거였다’고 발표했다. 5월 11일 고려대생 200여 명은 ‘민주수호선언식’을 열고 “이번 선거는 투개표 요식행위만 갖춘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했다. 서울대 문리대생 150여 명도 학생총회를 열고 대통령선거 재실시 및 중앙정보부 해체 등을 주장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5월 12일 고려대생 300여 명은 민주수호선언대회를 열고 “원천적인 부정선거와 군사교련 실시는 독재의 초석을 마련하려는 반민주적인 행위”라고 주장하면서 “조국과 민족을 위해 민주수호대행진을 벌일 것”을 결의한 뒤, 스크럼을 짜고 “4.27 부정선거 다시 하라”, “교련 철폐”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교문 밖으로 진출했다가 교수들의 만류로 교내로 돌아가 해산했다.

같은 날 범연세민주수호투위는 ‘민주수호 제1차 선언문’을 통해 “현 정권은 1인 독재로 치닫기 위한 모든 수법을 유감없이 발휘했다”고 발표했다. 서울대 상대생 200여 명도 공개토론회를 열고 “이번 선거는 원천적으로 부정선거이나 우리는 학원의 질서를 되찾기 위해 행동은 않기”로 의견을 모은 뒤 “5.25총선거를 실시하기 전에 모든 부정획책을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1971년 5월 20일 고려대 정문에서 시위를 진압하는 장갑차(경향신문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5월 13일 민수청은 ‘4.27 부정선거 무효성명서’를 발표했다. 5월 14일 민주수호전학련은 성명서를 발표, “4.27대선은 정보정치와 폭력, 관권과 금력선거라는 요식행위를 빌린 일당독재와 총통제 음모가 그대로 드러난 원천적인 부정선거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같은 날 민수기독청은 대통령 조찬기도회를 주관해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의 분노를 외면하고 권력의 자기합리화에 들러리 역할을 하는 기독교 지도자들의 행태를 비판하면서, 불의를 보고 불의라고 말할 용기가 없으면 성직자의 복장을 던지고 평민으로 돌아가라고 꼬집었다. 저녁 8시경에는 서울운동장에서 있은 전국대학야구 연고전을 응원하고 돌아가던 고려대생 300여 명이 신설동에서부터 스크럼을 짜고 “교련철폐”, “언론자유”, “공명선거” 등의 구호를 외치며 안암동 로터리까지 데모를 벌였다. 안암동 로터리에서 11명이 기동경찰에 연행되고 나머지 학생들은 해산했다.

5월 18일 고려대생 1000여 명은 ‘부정선거, 학생구속’ 규탄 데모를 벌였으며 일부는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다음날인 19일과 20일에도 고려대생 1000여 명은 “부정선거가 조국근대화냐 불법구속이 웬 말이냐 대학은 통곡한다”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연좌데모를 벌였다.

4.27대선 부정 규탄투쟁은 5.25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수그러들기 시작했다.

결과/영향

4.27대선부정규탄운동은 부정선거 규탄과 함께, 선거 무효화와 재선거 실시, 부정선거의 모체인 중앙정보부 해체, 5.25총선 거부 등을 요구했지만 목표를 이루지는 못했다.

1971년 7월 1일 약 2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청 광장에서 제7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박정희의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다. 4.27대선에서 “하마터면 정권을 도둑맞을 뻔했다”는 박정희 대통령과 정부와 여당은 1972년 10월유신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폐기하고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선제로 헌법 조항을 개정했다. 결국 “이번이 마지막 출마”라는 박 대통령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대신에 4.27대선은 박 대통령 생애 동안 국민들의 손으로 직접 뽑는 마지막 대선이 되고 말았다.

주)001
민주수호국민협의회 편, ≪자료집≫, 1971, 34쪽. 
멀티미디어
  • 서울대생들의 4.27대선부정 규탄시위 보도(경향신문 1971.5.4.)
  • "부정선거 묵인 못해, 평화교체 국민여망에 감사" 김 후보 성명(경향신문 1971.04.29)
  • 4.27선거사범 946명(경향신문 1971.04.29)
  • 김대중 신민당 대선후보는 4.27대선을 "국민의 평화적 정권교체 열망을 짓밟은 부정선거"로 규정했다.(경향신문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군에서는 각 중대별로 시간제로 투표를 한 사례가 적발됐다.(경향신문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1971년 5월 20일 고려대 정문에서 시위를 진압하는 장갑차(경향신문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제7대 대통령 선거 개표결과를 TV로 지켜보는 시민들
  • 민주수호 기독청년협의회 참관인단 보고대회
참고문헌
  • 71동지회 편, ≪나의 청춘 나의 조국≫, 나남, 2001.
  • 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①≫, 동아일보사, 1992.
  • 민주수호국민협의회 편, ≪자료집≫, 1971.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엮음, ≪한국민주화운동사 1≫, 돌베개, 2008.
  • 이재오, ≪해방후 한국학생운동사≫, 형성사, 1986.
  • 청사 편집부, ≪칠십년대 한국일지≫, 청사, 1984.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Ⅰ≫, 동광출판사, 1987.
  • 허은, <교련반대투쟁과 1971년 선거투쟁의 전개과정>,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 연구보고서 2007≫,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 ≪동아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관련 기사 검색.
집필정보
집필자
조현연
집필일자
2023-10
최종수정일자
2024-11-13 08:32:50
상위사건 + 더보기
1971년 선거투쟁
주요사건 + 더보기
4.27대선참관인활동
4.27대선부정규탄운동
5.25총선거부운동
연관사건 + 더보기
국가비상사태 선언 및 국가보위법 제정
주요사건 + 더보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민주수호청년협의회
배경사건 + 더보기
1971년 대선, 총선
연계자료 + 더보기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민주수호학생련 대표15명 성명 "불법 관권선거"(동아일보 1971....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민주수호학생련 성명 "4.27무효, 재선거하라"(동아일보 1971....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4.27 성토성명서 서울 문리대생들(조선일보 1971.5.15.)
[경향신문사]"부정선거 묵인 못해, 평화교체 국민여망에 감사" 김 후보 성명(경...
[경향신문사]4.27선거사범 946명(경향신문 1971.04.29)
[경향신문사]서울대생들의 4.27대선부정 규탄시위 보도(경향신문 1971.5.4.)
김대중 신민당 대선후보는 4.2...
군에서는 각 중대별로 시간제로 ...
1971년 5월 20일 고려대 ...
제7대 대통령 선거 개표결과를 ...
민주수호 기독청년협의회 참관인단...
...

#
4.27대선부정규탄운동
  • 설명 제7대 대통령선거 개표 현장
  • 출처 경향신문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